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아알라바카 야차(夜叉)
- Victory Over Fascination
- 불교
- Vijaya Sutta
- 법구경
- 征勝經
- 牟尼經
- 장미
- 曠野經
- 수행
- Classic
- 법구
- 雪山經
- 클래식
- 蛇品
- 전쟁
- Sātāgira and Hemavata the Yakkhas
- Loving-kindness
- Āḷavaka Sutta
- 육체에 대한 가르침
- 설산(雪山)에 사는 사람
- Hemavata Sutta
- 경전
- 숫다니파타
- The Sage Inwardly Silent
- With the Yakkha Āḷavaka
- 베토벤
- Muni Sutta
- Sutta Nipata
- Mettā Sutt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9)
RoseWa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eG0P/btqC7rU00ib/vS6dDwg4M6fVsxC4ZufpDk/img.png)
근면에 대한 찬양(깨어있음(Appamada Vagga)). 절재 된 생활(Appamada)과 무절재 한 생활(ppamada)을 비교해 가면서 전자를 찬양하고 후자를 비판하는 식으로 시구가 전개되고 있다. (21) 戒爲甘露道 放逸爲死徑 (계위감로도 방일위사경) 不貪則不死 失道爲自喪 (불탐즉불사 실도위자상) 부지런함은 생명의 길이요 게으름은 죽음의 길이다. 부지런한 사람은 죽지 않지만 게으른 사람은 죽은 것과 마찬가지다. Vigilance is the abode of eternal life, thoughtlessness is the abode of death. Those who are vigilant (who are given to reflection) do not die. The thoughtless a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VP8O/btqC86Cyi4e/bl2blJW4MY1cPDTSbB3Ga1/img.png)
인간의 행동규범에 관한 내용으로, 긍정과 부정이 서로 대치되는 장 (1) 心爲法本 心尊心使 (심위법본 심존심사) 中心念惡 卽言卽行 (심념념악 즉언즉행) 罪苦自追 車轢車轍 (죄고자추 거력어철) 마음은 法(모든 일)의 근본이 되나니 마음이 주인이 되어 모든 일을 시킨다. 마음속으로 악함을 생각하면 그 말과 행동도 곧 그러하리니, 죄악의 고통이 저절로 따라 마치 수레가 지나간 바퀴 자국과 같도다. (The mental) natures are the result of what we have thought, are chieftained by our thoughts, are made up of our thoughts. If a man speaks or acts with an evil thought, sorrow 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fPg4/btqC9NWMZPR/17SrlnckZnGbjTM3I467i0/img.png)
산스크리트어 udāna 경전의 서술 형식에서, 질문자 없이 부처 스스로 설한 법문. 인도의 승려 법구(法救)가 인생에 지침이 될 만큼 좋은 시구(詩句)들을 모아 엮은 경전. 원시불교 경전으로 팔리어로 된 경전을 담마파다(Dhammapada)라 하며, 소부(小部)에 속한다. 여러 자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며 불교도들 사이에 가장 널리 애창되어 오늘에 이른다. 시(운문)형식인데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법구경은 모두 26장으로 나누고 그 게송은 장장 423수의 시를 옮긴 팔리어 본과 팔리어 원전의 26장을 500수의 시로 번역하고 여기에 13장 250수의 게송을 추보하고 있는 것이 한역 법구경이다. 문장은 평이하고 분명하며, 깊은 종교적 경지가 담겨있어 불교의 바이블역할을 하고 있다. 또 법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h4fQ/btqzEugSGM4/AtHzCNcamKtlwGw5XbrqTK/img.jpg)
Bagatelle No. 25 in 솔로 피아노를 위한 마이너 ( WoO 59, Bia 515) 1827년 작곡가 사망 후 40 년이 지난 1867 년까지 이 곡은 발표되지 못했다. 루드비히 놀 (Ludwig Nohl) 작품의 발견자는 원고 사본의 원고가 이제 없어 졌다고 주장했다. "Für Elise am 4 April 27 [1810] zur Erinnerung von L. v. Bthvn "("L. v. Bthvn을 기념하여 4월 27일 엘리스를 위해"). 이 음악은 28-33 페이지의 Nohl 's Neue Briefe Beethovens ( 베토벤의 새 편지) 의 일부로 출판 되었으며 Johann Friedrich Cotta의 슈투트가르트에서 인쇄되었습니다. 오늘 들었던 "Für Elise"..
구분 데이터 타입 크기 byte 설명 범위 정수형 byte 1 부호 있는 정수 -128 ~ 127 short 2 부호 있는 정수 -32768 ~ 32767 int 4 부호 있는 정수 -2147483648 ~ 2147483647 long 8 부호 있는 정수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실수형 float 4 부동 소수점 수 -1.401298E-45 ~ 3.402823E38 double 8 부동 소수점 수 -4.94065645841247E-324 ~ 1.79769313486231570E+308 문자형 char 2 유니코드 문자 Java가 지원하는 모든 유니코드 문자 부울형 boolean 1 참/거짓 true / false
미하일 글린카 (러시아) Michail Ivanovich Glinka (1803〜1857) 러시아의 작곡가. 오페라 《이반 수사닌》등을 작곡해 러시아의 첫 작곡가, 러시아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데, 이는 19세기 러시아 음악의 양식을 결정하는 데 그 영향력이 가장 컸기 때문이며, 차이콥스키나 러시아 국민악파의 음악도 이 기반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미하일 이바노비치 글린카(Michail Ivanovich Glinka)는 1803년에 러시아의 노보스파스스코어에서 태어났는데, 그는 러시아 국민 음악파의 아버지라고 불려지며, 19세기 후반에 동유럽 여러 나라에서 일어난 국민 음악주의의 선구자로서 유명하다.어릴 때는 지주의 아들로 윤택한 환경 속에서 자랐고, 1817년 페테르스부르크 기숙학교에 입학하여 6년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독일) 1774년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 7. 2 ~ 1787. 11. 15)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1762년, 개정된 파리 판본 알체스테 1767년, 개정판 1776년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 1779년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로서 부친은 알렉산더 요하네스 글룩으로 로브코비츠 공과 그 밖의 대 귀족 밑에서 일한 삼림관이었다. 글룩이 3세 때에 부친은 가족을 이끌고 바이메론으로 부터 뵈멘의 고향으로 돌아갔다. 부친은 글룩을 관리로 삼으려고 8세 때부터 훌륭한 교육을 받게 하였다. 12세 때에 글룩은 뵈멘의 코모타우 마을에 있는 예수 교회의 칼리지에 보내져 18세까지 거기서 교육을 받았으며, 이어 프라하로 가서 성악, 바이올린, 첼로의 공부를 하였..
드바르드 하게루프 그리그 (노르웨이)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서정 모음곡 Op.54 모음곡 「페르퀸트」 Op.46 / Op.55 교향 무곡 Op.64 피아노 협주곡 a단조 Op.16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c단조 Op.45첼로 소나타 a단조 Op.36 트롤드하우겐의 혼례의 날 (서정 소곡집 제8집 중에서) Op.65, No.6 그리그는 1843년 6월 15일 북대서양에 연한 제1의 항구 도시 베르겐에서 태어난 노르웨이의 작곡가이자 대표적인 국민 음악가이며, 피아노 협주곡, 관현악곡, 실내악곡 등 다수의 명곡을 남기고 있는데, 그의 민족주의를 가장 단적으로 반영하여 깊은 맛이 있는 것은 아마도 노르웨이 시인들의 작품을 가사로 한 그의 독창적인 가곡 일 것이다.그는 당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