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seWar

숫다니파타 01(사품蛇品) : 04 밭을 가는 브하라드바자(耕田婆羅墮寐經 Kasībhāradvāja Sutta) 본문

Buddhism/숫타니파타

숫다니파타 01(사품蛇品) : 04 밭을 가는 브하라드바자(耕田婆羅墮寐經 Kasībhāradvāja Sutta)

장미의 전쟁 2020. 4. 2. 17:10

The Farmer Bhāradvaja (농부 브라마나)

The Brahmana Kasibharadvaga reproaches Gotama with idleness, but the latter convinces him that he (Buddha) also works, and so the Brahmana is converted, and finally becomes a saint. 

브라마나 카시바라바가(Brahmana Kasibharadvaga)는 고타마(Gotama)를 유휴 상태로 책망하지만, 후에 그가(부다)도 일하고 ​​있음을 확신하여 브라만(Brahmana)이 개종하여 마침내 성자가 되었다.

So it was heard by me: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At one time Bhagavat dwelt in Magadha at Dakkhinagiri in the Bramana village Ekanala. And at that time the Bramana Kasibharadvaga's five hundred ploughs were tied (to the yokes) in the sowing season.

한 때에 거룩하신 부처님께서는 '마가다'국 남산에 있는 <한포기 띠()>라고 하는 바라문 촌에 계시었다.
그때 밭을 갈고 있던 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씨를 뿌리는 데에 오백 자루의 보습을 소에 메웠다.

Then Bhagavat, in the morning, having put on his raiment and taken his bowl and robes, went to the place where the Bramana Kasibharadvaga's work (was going on). At that time the Bramana Kasibharadvaga's distribution of food took place. Then Bhagavat went to the place where the distribution of food took place, and having gone there, he stood apart. The Bramana Kasibharadvaga saw Bhagavat standing there to get alms, and having seen him, he said this to Bhagavat:

부처님께서는 오전중에 속옷을 입고 바리때와 가사(重依)를 챙기고밭을 갈고 있는 바라문 브하라드바자에게로 가셨다.때 마침 그는 음식을 나누어 주고 있기에 부처님은 한쪽에 가서 계시었다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음식을 받기 위해 서 있는 부처님을 보고 이렇게 말했다.

'I, O Samana, both plough and sow, and having ploughed and sown, I eat; thou also, O Samana, shouldst plough and sow, and having ploughed and sown, thou shouldst eat.'
'I also, O Bramana, both plough and sow, and having ploughed and sown, I eat,' -- so said Bhagavat. --
'Yet we do not see the yoke, or the plough, or the ploughshare, or the goad, or the oxen of the venerable Gotama.'
And then the venerable Gotama spoke in this way: 'I also, O Bramana, both plough and sow, and having ploughed and sown, I eat,' so said Bhagavat. Then the Bramana Kasi bharadvaga addressed Bhagavat in a stanza:

", 사문(沙門 = 도를 닦는 사람)이시여, 저는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밭을 갈고 씨를 뿌린 후에 먹습니다. 사문이시여, 당신도 밭을 가십시오.
그리고 씨를 뿌리십시오, 갈고 뿌린 다음에 먹으십시오."

스승(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바라문이여,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 갈고 뿌린 다음에 먹습니다."
바라문이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당신 고오타마의 멍에나 보습,보습날소를 다루는 작대기나 소를 본 일이 없습니다그런데 당신 고오타마는 어째서 `바라문이여, 나도 밭을 갈고 씨를 뿌립니다갈고 뿌린다음에 먹습니다'라고 하십니까?" 이 때 밭을 갈던 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게송()으로써 스승에게 여쭈었다.

(1)
'Thou professest to be a ploughman, and yet we do not see thy ploughing; asked about (thy) ploughing, tell us (of it), that we may know thy ploughing.'

"당신은 농부라고 자칭하시지만우리는 일찌기 당신이 밭 가는 것을 본 일이 없습니다. 묻습니다당신이 밭을 간다는 것을 우리들이 알아 듣도록 말씀해 주십시오."

(2)
Bhagavat answered: 'Faith is the seed, penance the rain, understanding my yoke and plough, modesty the pole of the plough, mind the tie, thoughtfulness my ploughshare and goad.

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믿음은 종자요, 수행은 비이며, 지혜(: Panna)는 내 멍에와 보습부끄러움은 보습자루, 의지()는 잡아 매는 줄생각()은 내 호미날과 작대기입니다.

(3)
'I am guarded in respect of the body, I am guarded in respect of speech, temperate in food; I make truth to cut away (weeds), tenderness is my deliverance.

몸을 조심하고, 말을 조심하며,음식을 조심하여 과식하지 않습니다나는 진실을 김매는 것으로 삼고 있습니다부드러움과 온화함(柔和)이 내 멍에를 떼어놓음 입니다.

(4)
'Exertion is my beast of burden; carrying (me) to Nibbâna he goes without turning back to the place where having gone one does not grieve.

정진(精進)은 짐을 싣는 내 황소이고 나를 안온의 경지로 실어다 줍니다물러남이 없이 앞으로 나아가 그곳에 이르면 근심 걱정이 사라집니다.

(5)
'So this ploughing is ploughed, it bears the fruit of immortality; having ploughed this ploughing one  is freed from all pain.'

이 밭갈이는 이렇게 해서 이루어지고 불사의 열매를 가져 오는 것입니다이런 밭갈이를 하면, 온갖 고뇌에서 풀려 나게 됩니다."

Then the Brâmana Kasibhâradvâga, having poured rice-milk into a golden bowl, offered it to Bhagavat, saying, 'Let the venerable Bhagavat eat of the rice-milk; the venerable is a ploughman, for the venerable Gotama ploughs a ploughing that bears the fruit of immortality.'

이 때 밭을 가는 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커다란 청동(靑銅)바리에 우유죽을 하나 가득 담아 부처님에게 올렸다.
"고오타마께서는 우유죽을 드십시오. 당신은 진실로 밭가는 분이십니다당신 고오타마께서는 불사의 열매를 맺는 밭갈이를 합니다."

(6)
Bhagavat said: 'What is acquired by reciting stanzas is not to be eaten by me; this is, O Brâmana, not the Dhamma of those that see rightly; Buddha rejects what is acquired by reciting stanzas, this is the conduct (of Buddhas) as long as the Dhamma exists.

"바라문이여, 게송(: gatha)을 읊어 얻은 것을 나는 먹을 수 없습니다. 바라문이여, 이것은 바르게 보는 사람들의 법이 아닙니다()를 읊어 생긴 것을, 눈을 뜬 사람들(諸佛)은 받지 않습니다바라문이여, 이렇게 법에 따르는 것이 제불(諸佛)의 생활 습관입니다.

(7)
'One who is an accomplished great Isi, whose passions are destroyed and whose misbehaviour has ceased, thou shouldst serve with other food and drink, for this is the field for one who looks for good works.'

완전한 사람인 큰 성인(大聖人), 번뇌의 흐름을 다 없애고나쁜 행위를 소멸해 버린 사람에게는 다른 음식을 드리십시오그것은 곧 공덕을 바라는 이의 복밭(福田)이 될 것입니다."

'To whom then, O Gotama, shall I give this rice-milk?' so said Kasibhâradvâga.
'I do not see, O Brâmana, in the world (of men) and gods and Mâras and Brahmans, amongst beings comprising gods and men, and Samanas and Brâmanas, any by whom this rice-milk when eaten can be properly digested with the exception of Tathâgata, or a disciple of Tathâgata. Therefore, O Brâmana, thou shalt throw this rice-milk in (a place where there is) little grass, or cast it into water with no worms: so said Bhagavat.

"그러면 고오타마시여,이 우유죽을 저는 누구에게 드려야 합니까?"
"바라문이여, , 악마, 범천(梵天)들이 있는 세계에서 , 인간, 사문, 바라문을 포함한 뭇 중생 가운데서 여래(如來)와 그의 제자를 빼놓고는아무도 이 우유죽을 먹고 소화시킬 사람은 없습니다그러므로 바라문이여, 이 우유죽일랑 산 풀이 없은 곳에 버리십시오또는 생물이 없는 물에 흘려 보내십니다."

Then the Brâmana Kasibhâradvâga threw the rice-milk into some water with no worms. Then the rice-milk thrown into the water splashed, hissed, smoked in volumes; for as a ploughshare that has got hot during the day when thrown into the water splashes, hisses, and smokes in volumes, even so the rice-milk (when) thrown into the water splashed, hissed, and smoked in volumes.

그리하여 밭을 가는 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그 우유죽을 생물이 없는 물속에 쏟아 버렸다그런데 그 우유죽은 물속에 버리자마자 부글부글 소리를 내면서 많은 김을 내뿜는 것이었다마치 온종일 뙤약볕에 쪼여 뜨거워진 보습날을 물속에 넣었을 때 부글부글 소리를 내면서 많은 거품이 이는 것과 같이...

Then the Brâmana Kasibhâradvâga alarmed and terrified went up to Bhagavat, and after having approached and fallen with his head at Bhagavat's feet, he said this to Bhagavat:

이때 밭을 가는 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매우 두려워 떨면서 부처님 곁에 다가섰다그리고 부처님의 두 발에 머리를 조아리며 여쭈었다.

It is excellent, O venerable Gotama! It is excellent, O venerable Gotama! As one  raises what has been overthrown, or reveals what has been hidden, or tells the way to him who has gone astray, or holds out an oil lamp in the dark that those who have eyes may see the objects, even so by the venerable Gotama in manifold ways the Dhamma (has been) illustrated. I take refuge in the venerable Gotama and in the Dhamma and in the Assembly of Bhikkhus; I wish to receive the pabbaggâ, I wish to receive the upasampadâ (the robe and the orders) from the venerable Gotama,' so said Kasibhâradvâga.

"놀라운 일입니다, 고오타마시여.놀라운 일입니다, 고오타마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주듯이, 덮인 것을 벗겨 주듯이길 잃은 이에게 길을 가리켜 주듯이혹은 `눈이 있는 자는 빛()을 보리라' 하며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 주듯이고오타마 당신은 여러가지 방편으로 진리의 법을 밝혀 주셨습니다저는 고오타마 당신께 귀의하고진리의 법과 도를 닦는 스님들에게 귀의합니다저는 고오타마 곁에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具足戒)을 받겠습니다."

Then the Brâmana Kasibhâradvâga received the pabbaggâ from Bhagavat, and he received also the upasampadâ; and the venerable Bhâradvâaga having lately received the upasampadâ, leading a solitary, retired, strenuous, ardent, energetic life, lived after having in a short time in this existence by his own understanding ascertained and possessed himself of that highest perfection of a religious life for the sake of which men of good family rightly wander, away from their houses to houseless state. 'Birth had been destroyed, a religious life had been led, what was to be done had been done, there was nothing else (to be done) for this existence,' so he perceived, and the venerable Bhâradvâaga became one of the arahats (saints).

이렇게 해서 밭을 가는 바라문 브하라드바자는 부처님 곁에 출가하여 완전한 계를 받았다그 후 얼마되지 않아 이 브하라드바자는 사람들을 멀리하고 부지런히 열심히 정진하여 지내다가 마침내 더 없이 높고 청정한(無上) 범행(梵行 : brahmacariya)의 궁극을 - 많은 선남자들은 바로 그것을 얻기 위해 출가하여 집없는 상태가 된 것인데 현세에서 스스로 깨달아 증명하고 구현하며 살았다.

`태어나는 일은 끝났다. 청정한 행은 이미 완성되었다. 할일을 다 마쳤다이제 또 다시 이런 생존을 받지는 않으리라' 라고 깨달았다. 그리하여 브하라드바자 장로는 아라한(阿羅漢)의 한 사람이 되었다.

Kasibhâradvâgasutta is ended.

* 멍에를 떼어놓음 : 해탈(解脫)을 뜻함 (Pamocana)
* 안온(安穩)의 경지 : 열반 또는 해탈 (yogakkema)
* 불사(不死)의 열매 : amataphala() + mata() + phala()
* ()를 읊어 얻은 것 : 설법의 보수를 받지 않는다는 뜻

 

 

 

Comments